1. 생물
1.1. 미끼
2. 일반 몬스터
2.1. 숲(지상)
2.2. 지하
2.3. 대동굴
2.3.1. 소형 지형
2.4. 사막
2.5. 설원
2.6. 정글
2.6.1. 리자드 사원
2.7. 버섯 지형
2.8. 오염지대
2.9. 진홍지대
2.10. 신성지대
2.11. 상공
2.12. 바다
2.13. 던전
2.13.1. 던전 가디언
2.13.2. 하드모드 던전
2.13.2.1. 타입 A
2.13.2.2. 타입 B
2.13.2.3. 타입 C
2.13.2.4. 그 외
2.14. 지옥
2.15. 운석 추락지
3. 콘솔판 몬스터
3.1. 일반 몬스터
3.2. 하드모드 몬스터
1. 생물[편집]
생물은 플레이어에게 해를 입히지 않는다[1]. 대부분 생물은 종류와 관계없이 5의 체력을 가지고 있으며, 테라리아 세계 안에서 온순한 야생동물 역할을 한다. 적대적인 몬스터들과 같은 팩션으로 취급되지 않기 때문에 몬스터의 공격에 휘말려 죽는 경우도 빈번하다. 어떠한 생물들은 조각상에서 소환할 수도 있지만, 그 외에는 환경에 맞는 생물이 랜덤으로 생성된다. NPC 주변에서 생물이 많이 스폰된다.
상인에게 은화 25닢으로 구입할 수 있는 잠자리채로 생물들을 몸소 잡을 수 있다. 잡은 생물은 인벤토리에 아이템화되며, NPC에게 팔아서 돈을 벌거나, 테라리움을 통해 전시할 수 있다. 몇몇 생물들은 음식의 재료로도 이용되니 별도로 모아둘 필요가 있다.
일부 생물들은 많이 희귀한 황금 변종이 나타난다. 황금 변종은 NPC에게 금화 10닢에 팔거나, 황금 진미로 만들어 먹거나, 황금빛 테두리가 나타나는 고풍스러운 테라리움을 만들 수 있다.
대부분 생물들은 돌 50개와 해당 생물 5마리를 조합해 조각상을 만들 수 있다. 조각상에서 소환되는 생물은 잠자리채로 잡으려 한다면 사라지며, 황금 변종은 소환되지 않는다.
Journey 모드에서는 대다수의 생물을 5마리 연구한다면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수한 생물은 3마리를 요청한다.
attachment/테라리아/... 844943 09 4e3e3d 07 d1c747 08 토끼(Bunny)
6GpGLHu 황금 토끼(Gold Bunny)
처음부터 있었던 생물로, 테라리아에서 만날 수 있는 첫 동물 중에 하나이다. 숲에서 출현한다면서, 주로 NPC 주변에서 출현한다. 심지어 지옥에 NPC가 있더라도도 스폰된다. 토끼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파티 이벤트가 일어나는 동안에는 파티 모자를 쓴 채로, 할로윈 이벤트 기간 동안에는 슬라임으로 분장한 채로, 크리스마스 이벤트 기간 동안에는 산타로 분장한 채로 출현한다.
50마리를 죽일 때마다 토끼 배너를 얻을 수 있으며, 다이너마이트 하나와 조합해 폭발성 토끼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1.4 버전 이후로는 요리 냄비에서 토끼 스튜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테라리아/자수정토끼 테라리아/토파즈토끼 테라리아/사파이어토끼 테라리아/에메랄드토끼 테라리아/루비토끼 테라리아/다이아몬드토끼 테라리아/호박토끼 보석 토끼(Gem Bunnies)
지하나 대동굴의 마을 주변에서 토끼 대신 출현한다. 순서대로 자수정, 토파즈, 사파이어, 에메랄드, 루비, 다이아몬드, 호박 토끼이다. 모두 은화 10닢에 판매할 수 있다. 이용처는 테라리움과 조합하는 것 말고는 없다.
Terraria/Explosi... 폭발성 토끼(Explosive Bunny)
잠자리채로 포획한 토끼를 손에서 다이너마이트와 조합해서 만든다. 토끼 대포의 탄약으로도 쓰이고, 그냥 풀어놓으면[2] 일반 토끼처럼 돌아다니다가 플레이어가 몸소 죽이거나 다른 몬스터의 공격에 휘말릴 경우 폭발해서 수류탄 정도의 좁은 범위에 피해를 준다. 지형 파괴 효과는 없으며, 플레이어나 몬스터는 물론 NPC에게도 피해를 입힌다. 이 때 몬스터나 NPC에게 주는 피해는 대략 100~200 정도인데 플레이어에게 주는 피해는 무려 300 이상으로 미친듯이 높다. 하드모드 이전 스펙의 캐릭터는 한 마리만 터져도 사경을 헤맬 정도. 풀어놓은 폭발성 토끼를 잠자리채로 다시 회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플레이어는 몸소 공격하지 않는 한 터지지 않지만 몬스터는 닿기만 해도 터지기 때문에 근접형 몬스터를 상대할 때 일종의 생체 지뢰처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일반 토끼와 마찬가지로 제멋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위치를 고정하기가 어려우므로 블록으로 케이지같은 걸 만들어서 가둬놓거나, 상대 위로 날아올라서 투하하는 식으로 쓰는 게 나쁘지않다..
앞서 언급했듯 폭발성 토끼의 폭발은 NPC에게도 피해를 주며, 이는 플레이어가 초반부터 NPC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몇 안 되는 방도이다.[3] 플랜테라 격파+고급 전투 기법 이용 후 시점을 기준으로 폭발성 토끼 약 6마리 정도면 죽는다.
For the worthy 시드 월드에서는 대부분 일반 토끼가 폭발성 토끼로 대체된다. 다른 세계에서 잡아온 일반 토끼를 풀어도 폭발성 토끼로 바뀐다. For the worthy 월드에서 포획한 폭발성 토끼를 다른 월드로 가져가면 그 토끼는 폭발성으로 유지된다.
attachment/테라리아/... attachment/테라리아/... 금붕어(Goldfish)
Gold Goldfish sw... Gold Goldfish Wa... 황금 금붕어(Gold Goldfish)
토끼와 함께 처음부터 있었던 생물. 물 속에서 출현한다면서, 물 밖에서는 통통 튀지만 지상에 비가 내린다면 물 밖에서 걸어다니며 물이 아닌 곳에서도 자연적으로 스폰될 수 있다. 금붕어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물고기이지만 반드시 잠자리채로 잡아야만 아이템화된 금붕어를 획득할 수 있다. 죽이면 목이 잘리고 눈이 빨개져서 첨 보면 약간 무섭다. 은화 7.5닢에 판매할 수 있다.
50마리를 죽일 때마다 금붕어 배너를 얻을 수 있으며, 수프와 어항의 재료로 이용된다.
툴팁에 '간식이 될 지도 모르는데 웃고 있을 수 있다!.' (It's smiling, might be a good snack)라고 쓰여져 있다. 이 문구는 금붕어 모양 과자인 골드피쉬의 패러디이다.
1.4 버전에서 황금 금붕어가 추가되었다. 황금빛 테두리를 띄는 어항[4]과 황금 진미를 만들 수 있다. Gold Goldfish(의역한다면 '금 금붕어')라는 애매한 이름 때문에 툴 팁에 '금금금붕어(Gold gold goldfish)와 헷갈리지 마세요'라는 말장난이 있다.
Pupfish 펍피쉬(Pupfish)
오아시스를 비롯한 사막의 물 속에서 금붕어 대신 출현한다. 물병과 조합해 펍피쉬 어항을 만들 수 있다. 그 외의 목적는 없다.
59OqdbQ 다람쥐(Squirrel)
UMhttCV 붉은 다람쥐(Red Squirrel)
P1okyVv 황금 다람쥐(Gold Squirrel)
숲에서 출현한다면서, 숲이나 신성지대의 나무를 흔들 시 튀어나오기도 한다. 다람쥐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으며, 1.4 버전 이후로는 요리 냄비에서 다람쥐 구이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테라리아/자수정다람쥐 테라리아/토파즈다람쥐 테라리아/사파이어다람쥐 테라리아/에메랄드다람쥐 테라리아/루비다람쥐 테라리아/다이아몬드다람쥐 테라리아/호박다람쥐 보석 다람쥐(Gem Squirrel)
지하나 대동굴의 마을의 주변에서 위의 다람쥐 대신 출현한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자수정, 토파즈, 사파이어, 에메랄드, 루비, 다이아몬드, 호박이다. 판매 금액은 종류 불문하고 은화 10닢. 이용처는 테라리움과 조합하는 것 말고는 없다.
attachment/테라리아/... 새(Bird)
T78wAtj 황금 새(Gold Bird)
숲에서 출현한다면서, 숲이나 신성지대의 나무를 흔들 시 홍관조와 넓은어치와 함께 우수수 튀어나오기도 한다. 새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낮에 짹짹거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바닥에 앉아 있는 새에게 가까이 다가가면 날아가버리며, 이동속도 증가 장신구가 없는 일반 속력으로는 따라잡을 수 없으므로 헤르메스 부츠처럼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장신구를 착용하거나, 블록으로 가두거나, 혹은 위에서 떨어지면서 잠자리채를 휘두르는 식으로 잡아야 한다.
50마리를 죽일 때마다 새 배너를 얻을 수 있으며, 1.4 버전 이후로는 요리 냄비에서 구이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attachment/테라리아/... 홍관조(Cardinal)
숲에서 출현한다면서, 새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으며, 1.4 버전 이후로는 요리 냄비에서 구이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attachment/테라리아/... 넓은어치(Blue Jay)
숲에서 출현한다면서, 새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으며, 1.4 버전 이후로는 요리 냄비에서 구이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attachment/테라리아/... 오리(Duck)
attachment/테라리아/... 청둥오리(Mallard Duck)
지상의 물웅덩이에서 출현한다면서, 오리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지상에서는 가까이 가도 도망가지 않으나 물에 떠 있는 컨디션에서 가까이 다가가면 새처럼 날아서 도망가다 다시 착지한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으며, 1.4 버전 이후로는 요리 냄비에서 오리구이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이스터 에그로, 아주 간혹 진짜 오리 소리인 '꽥꽥'이 아니라 사람이 오리를 흉내내는 소리인 '꽤엑~'하고 울기도 한다.
Grebe 논병아리(Grebe)
사막의 오아시스에서 출현한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는다. 행동 양상은 오리와 동일한다면서 요리 냄비에서 오리구이로 만들어 먹을 수도 있으나, 오리 조각상의 재료로 되지 않으며 소환되지도 않는다.
Terraria.Owl 부엉이(Owl)
밤에 지상에서 출현한다면서, 밤에 숲의 나무를 흔들 시 튀어나오기도 한다. 부엉이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다른 비행형 조류들과 달리 다가가도 도망치지 않는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으며, 새지만 요리 냄비에서 조리해 먹을 수는 없다.
Terraria Turtle 거북(Turtle)
숲의 물가에서 출현한다면서, 거북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물에서는 수면에 떠다닌 채로 헤엄을 치며, 땅에서는 움직임이 물에서보다 현저하게 느려진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는다.
attachment/테라리아/... 쥐(Mouse)
vv9p5Gf 황금 쥐(Gold Mouse)
지하에서 출현한다면서, 쥐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는다.
Rat 시궁쥐(Rat)
묘지에서 출현한다. 쥐 조각상의 재료로 되지 않으며 소환되지도 않는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는다.
attachment/테라리아/... attachment/테라리아/... 펭귄(Penguin)
설원에서 출현한다면서, 펭귄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50마리를 죽일 때마다 펭귄 배너를 얻을 수 있으며, 1.4 버전 이후로는 요리 냄비에서 구이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Terraria/Frog 개구리(Frog)
external/hydra-m... 황금 개구리(Gold Frog)
정글과 정글 지하 둘 다 출현한다면서, 개구리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으며, 1.4 버전 이후로는 요리 냄비에서 소테 개구리 다리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Jungle Turtle 정글 거북(Jungle Turtle)
정글의 물가에서 출현한다면서, 거북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당연히 행동 양상은 거북과 동일.
Terraria Seagull 갈매기(Seagull)
바닷가에서 출현한다면서, 바닷가의 야자나무를 흔들 시 튀어나오기도 한다. 갈매기 조각상으로도 소환이 가능하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는다. 행동 양상은 오리와 동일하나 요리 냄비에서 조리 시 구운 새로만 만들어진다.
Terraria Seahors... 해마(Seahorse)
Gold Seahorse 황금 해마(Gold Seahorse)
바다에서 출현한다. 멈춰 있다가 랜덤한 한 방향으로 잠깐 움직인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는다.
Terraria.Dolphin 돌고래(Dolphin)
바다에서 출현한다. 종종 바다 위로 점프하거나 수면 위로 고개를 내미는 등 재주를 부리기도 한다. 실제 돌고래처럼 시끄럽게 울어대는데 수 없이 많은 소리가 커서 시끄럽다고 싫어하는 사람이 많다.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으며, 포획할 수도 없는 생물이다.
Sea Turtle 바다 거북(Sea Turtle)
바다에서 출현한다. 당연히 행동 양상은 거북과 동일.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으며, 포획할 수도 없는 생물이다.
Terraria.BlueFai... Terraria.GreenFa... Terraria.PinkFai... 요정(Fairy)
지상과 지하에서 지형을 가리지 않고 희귀하게 출현한다. 색상에 따라 총 3가지가 있다. 생물 형태 분석기에 잡힌다.
지하에서 출현하는 요정은 처치 및 포획할 수 없으며, 등장할 때마다 플레이어를 상자나 생명 수정, 금/백금 이상의 광물이 40블록 이상 대량 밀집된 광맥 등의 주요 루팅 포인트로 안내해준다. 아직 감지된 루팅 포인트가 없을 경우에는 루팅 포인트가 감지될 때까지 플레이어를 따라다니며, 루팅 포인트가 감지될 경우 유리 알갱이가 울리는 것같은 맑은 소리를 내면서 한 쪽으로 즉시 이동한다. 해당 루팅 포인트에 요정이 접근한다고 한다면 그 아이템 주변에서 작게 원을 그리다가 터지면서 사라진다. 플레이어가 땅을 파거나 길을 찾느라 빨리 움직이지 못한다면 멈춰서 기다려주지만, 시간을 너무 오래 끌거나 아예 한순간에 먼 곳으로 사라져버리면 멀리 날아가버린다. 혹은한 지하에 배치된 상자라면 다른 전제은 따지지 않아서, 진작 루팅해 비어있는 상자나 플레이어가 임의로 놓아둔 상자로 안내해줘서 헛걸음을 시키거나, 아예 죽은 자의 상자로 안내해줘서(...) 죽음으로 내몰기도 한다.
지상에서는 숲에 자연적으로 있는 오브젝트인 나무토막(Fallen Log) 근처에 출현하거나[5], 밤에 신성지대의 진주나무를 흔들 시 드물게 튀어나온다. 이렇게 나온 요정들은 포획이 가능한다면서, 다가가면 멀리 날아가버린다. 이렇게 지상에서 포획한 요정을 풀어줄 경우 지하에서 출현한 요정처럼 행동 패턴이 변화해 플레이어를 가까이 있는 루팅 포인트로 안내해준다.
포획해 아이템화된 요정은 유리병 1개와 조합해 장식용 가구인 요정 병을 제작할 수 있다. 툴팁에 'Hey! Listen!'이라는 문구가 있는데, 이는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등장 요정 나비의 패러디.
Prismatic Lacewi... 선명한 풀잠자리(Prismatic Lacewing)
플랜테라 격파 후 신성지대에서 출현하는 생물. 벌레처럼 생겼지만 미끼로 이용은 불가능한다면서, 보스 빛의 여제 소환을 위해 이용된다. 자세한 것은 테라리아/보스 문서 해당 문단 참고.
1.1. 미끼[편집]
낚싯대의 미끼로 이용되는 생물들. 미끼 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희소성이 높은 물고기를 잡을 확률이 높아지고 미끼가 소모될 확률도 낮아진다. 미끼는 여러 번 쓸 수 있다. 무기를 들고 처치해도 아이템은 드롭하지 않는다.
참고로 나비와 잠자리 종류는 유리병과 조합해 각각 장식용 가구인 나비 병, 잠자리 병을 제작할 수 있다. 혹은한 해파리 종류는 물병과 조합해 장식용 가구인 해파리 병을 제작할 수 있다. 그 외의 종류들은 모두 테라리움에 넣을 수 있다.
하드모드 버섯 지형과 신성지대에서 출현하는 송로버섯 지렁이와 선명한 풀잠자리는 보스 항목 참조. 참고로 이들도 각각 테라리움과 유리병에 넣을 수 있다.
희귀한 확률로 등장하는 금빛 개체들은 공통적으로 NPC에게 팔면 금화 10이상을 벌 수 있다. 수집 취지이 아니라면 미끼로 쓰지 말고 파는게 훨씬 이득이다.
WF7t2iv 군주나비(Monarch Butterfly)
미끼 효율 5%. 숲에서 출현한다. 미끼 효율이 대부분 미끼들 중 제일 낮다.
IZxaO0E 노랑나비(Sulphur Butterfly)
미끼 효율 10%. 숲에서 출현한다.
TprdO32 얼룩줄무늬나비(Zebra Swallowtail Butterfly)
미끼 효율 15%. 숲에서 출현한다.
5ZjEW1T 율리시스제비나비(Ulysses Butterfly)
미끼 효율 20%. 숲에서 출현한다.
쥴리아 나비 쥴리아나비(Julia Butterfly)
미끼 효율 25%. 숲에서 출현한다.
A85r1vg 붉은멋쟁이나비(Red Admiral Butterfly)
미끼 효율 30%. 숲에서 출현한다.
7mUTScq 자주황제나비(Purple Emperor Butterfly)
미끼 효율 35%. 숲에서 출현한다.
af81TtC 나무요정나비(Tree Nymph Butterfly)
미끼 효율 50%. 숲에서 희귀한 확률로 출현한다. 미끼 효율이 상식적인 생물 미끼들 중에서는 제일 높으며 판매가도 금화 1닢으로 많이 높다.
W5k8KSW 금빛 나비(Gold Butterfly)
미끼 효율 50%. 숲에서 희귀한 확률로 출현한다.
PuIFCLy 메뚜기(Grasshopper)
미끼 효율 10%. 풀을 베면 출현한다. 시간 대비 효율이 높은 미끼.
wU2qTYU 금빛 메뚜기(Gold Grasshopper)
미끼 효율 50%. 풀을 베면 희귀한 확률로 출현한다.
jBF1TuO 전갈(Scorpion)
미끼 효율 10%. 사막에서 출현한다.
03BZ1nj 검은 전갈(Black Scorpion)
미끼 효율 15%. 전갈과 마찬가지로 사막에서 출현한다. 위의 전갈과 마찬가지로 높은 확률로 스폰과 동시에 죽는 버그가 있었으나 1.3.0.7 버전에서 수정되었다.
lZfyNY7 달팽이(Snail)
미끼 효율 10%. 지하에서 출현한다. 1.4 버전 이후로는 요리 냄비에서 에스카르고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6PMFXe9 발광 달팽이(Glowing Snail)
미끼 효율 15%. 버섯 지형에서 출현한다. 지하의 버섯 지형보다는 지상의 버섯 지형에 더 자주 출현한다. 판매가는 은화 50닢으로 지상 버섯 지형에서 자주 나오는 것치곤 수 없이 많은 비싼 편이다.
DUPe4Gm 굼벵이(Grubby)
미끼 효율 15%. 정글에서 풀이나 바위를 부수면 자주 출현한다. 요리 냄비에서 만드는 애벌레 수프의 재료가 된다.
Terraria/HellBut... 지옥 나비(Hell Butterfly)
미끼 효율 15%. 1.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상식적인 낚싯대로 용암에서 낚시를 하기 위해 필요한 특수 미끼이고, 지하세계에서 출현한다. 일반 잠자리채로 포획하려 할 경우 잡히기는 커녕 오히려 플레이어가 화상을 입는다. 반드시 용암 잠자리채나 황금 잠자리채를 써야만 포획할 수 있다. 용암 낚시가 할수있다는 특성을 제외하곤 미끼 효율은 많이 낮기 때문에 용암 낚시로 용암 낚싯바늘을 얻고나면 더 이상 쓸 일은 없을 것이고, 흔히 볼 수 있는 생물은 아니니 나비 병으로 만들어서 전시해두는 것을 추천한다.
Terraria/Ladybug 무당벌레(Ladybug)
미끼 효율 17%. 1.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흔들바람이 부는 날 숲에서 출현한다. 자연적으로 출현한 무당벌레와 접촉한다면 12분 동안 행운 수치가 0.2 증가한다면서, 반대로 몸소 죽이거나 낚시 미끼로 소모해버리면 3분 동안 행운 수치가 0.2 감소한다. 행운 증가 효과는 자연적으로 출현해 잡힌 컨디션가 아닌 무당벌레에만 적용되므로, 잠자리채로 잡았다가 풀어주고 접촉한다면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무당벌레는 행운 포션들의 재료가 되므로 죽이지 말고 생포해두는 것이 나쁘지않다..
Terraria/GoldLad... 금빛 무당벌레(Gold Ladybug)
미끼 효율 50%. 1.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흔들바람이 부는 날 숲에서 희귀한 확률로 출현한다. 행운 수치 보너스가 위의 무당벌레의 두 배로, 자연적으로 출현한 컨디션에서 접촉한다면 12분 동안 행운 수치가 0.4 증가그렇지만, 반대로 몸소 죽이거나 낚시 미끼로 소모해버리면 3분 동안 0.4 감소한다.
Terraria/WaterSt... 소금쟁이(Water Strider)
미끼 효율 17%. 1.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바다를 제외한 대부분 지형의 지상의 물가에서 출현한다. 수면에 떠다니며, 물이 없는 곳에 풀어놓을 시 메뚜기처럼 뛰어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웅덩이와 색이 비슷한 탓에 못 보고 지나치는 일이 수 없이 많은 편.
Terraria/GoldWat... 금빛 소금쟁이(Gold Water Strider)
미끼 효율 50%. 1.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바다를 제외한 대부분 지형의 지상의 물가에서 희귀한 확률로 출현한다.
Terraria/RedDrag... 붉은 잠자리(Red Dragonfly)
Terraria/GreenDr... 초록 잠자리(Green Dragonfly)
Terraria/BlueDra... 파란 잠자리(Blue Dragonfly)
Terraria/YellowD... 노란 잠자리(Yellow Dragonfly)
Terraria/OrangeD... 주황 잠자리(Orange Dragonfly)
Terraria/BlackDr... 검정 잠자리(Black Dragonfly)
모두 미끼 효율 20%. 1.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비 오는 날을 제외하고, 물가에 자라난 부들 근처에 모여서 출현한다. 총 6가지의 색상이 있는데, 붉은 잠자리, 초록 잠자리, 파란 잠자리는 숲에서, 노란 잠자리, 주황 잠자리, 검정 잠자리는 오아시스에서 출현한다. 접근시 많이 빠른 속도로 플레이어에게서 거리를 벌리며 날아가기 때문에 별도의 이동 관련 장신구 및 펫이 없을 경우 잡기 많이 힘든 편. 유리병 1개와 조합해 장식용 가구인 잠자리 병을 제작할 수 있다.
Terraria/GoldDra... 금빛 잠자리(Gold Dragonfly)
미끼 효율 50%. 1.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숲이든 오아시스든 상관없이 물가에 자라난 부들 근처에 희귀한 확률로 출현한다.
Terraria/파란 해파리 파란 해파리(Blue Jellyfish)
Terraria/녹색 해파리 녹색 해파리(Green Jellyfish) ⓗ
Terraria/분홍 해파리 분홍 해파리(Pink Jellyfish)
모두 미끼 효율 20%. 파란 해파리는 지하나 대동굴에 있는 물웅덩이에서, 녹색 해파리는 하드모드에 진입한 이후 파란 해파리와 동일한 곳에서, 분홍 해파리는 바다에서 각각 낚시 효율 100% 가준으로 1/250 확률로 낚을 수 있다. 물병 1개와 조합해 장식용 가구인 해파리 병을 제작할 수 있다. 종류 불문하고 금화 3닢, 은화 50닢이라는 고가에 팔린다. 미끼 효율 자체는 고만고만한 수준이니 수집 취지이 아니면 그냥 팔아서 돈으로 바꾸는 게 낫다.
R5e5ZBr 개똥벌레(Firefly)
미끼 효율 20%. 밤일 때 숲에서 출현한다. 밤 동안 작은 초록색 빛을 주기적으로 내며 밤이 아닌 시간대에서는 빛을 내지 않는다. 다른 생물들과 달리 케이지로 만들 수 없고, 유리병 1개와 조합해 조명 가구인 병 속의 개똥벌레로 이용한다.
반딧불이와 함께 미끼로써의 이목적 나쁘지않은 편이다. 밤이 되면 한 지점에서 네다섯 마리가 함께 나와주는데다 미끼 효율도 공급에 비해 무난하기 때문. NPC가 많이 살고 있는 구역에서는 다수 나타나서 어두운 밤을 아름답게 비춰준다.
jxPLpjE 반딧불이(Lightning Bug) ⓗ
미끼 효율 35%. 밤일 때 신성지대에서 출현한다. 밤 동안 작은 하늘색 빛을 주기적으로 내며 밤이 아닌 시간대에서는 빛을 내지 않는다. 개똥벌레보다 넓은 크기가 특징. 개똥벌레와 마찬가지로, 유리병 1개와 조합해 조명 가구인 병 속의 반딧불이로 이용이 가능한다면서, 미끼로서도 효율이 나쁘지않다..
Maggot 구더기(Maggot)
미끼 효율 22%. 1.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묘지에서 지렁이 대신 출현한다. 구더기 좀비가 죽으면 흩뿌리기도 한다.
UpPrzZC 민달팽이(Sluggy)
미끼 효율 25%. 정글에서 풀이나 바위를 부수면 종종 출현한다. 요리 냄비에서 만드는 애벌레 수프의 재료가 된다.
LK27rh0 지렁이(Worm)
미끼 효율 25%. 비 오는 날 숲에서 출현한다면서, 지하에서도 간혹 출현하기도 한다. 혹은한 지면에 이따금씩 박혀있는 조약돌 비슷한 오브젝트를 부수면 나오기도 한다. 많이 모으려면 비 오는 날에 마을에서 노닥거려 보자. 1.4 버전 이후로는 지상의 나무 상자에서 나오는 지렁이 통에서도 여러 마리를 획득 가능하다.
SKsc48v 마법의 넓은지렁이(Enchanted Nightcrawler)
미끼 효율 35%. 손에서 지렁이와 별똥별을 조합해 얻을 수 있다. 조합한 뒤 몸소 풀어주면 다른 지렁이들처럼 기어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보편적으로는 자연에서 볼 수 없으나, 1.4 버전 패치로 추가된 이벤트인 풍등이 뜬 밤에 자연적으로 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지상의 나무 상자에서 나오는 지렁이 통에서도 확률적으로 획득 가능하다.
DROGBMg 금빛 지렁이(Gold Worm)
미끼 효율 50%. 비 오는 날 숲에서 희귀한 확률로 출현한다면서, 지하에서도 희귀한 확률로 출현하기도 한다. 1.4 버전 이후로는 지상의 나무 상자에서 나오는 지렁이 통에서도 많이 낮은 확률로 획득 가능하다.
Terraria/Lavafly 용암벌레(Lavafly)
미끼 효율 25%. 1.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상식적인 낚싯대로 용암에서 낚시를 하기 위해 필요한 특수 미끼이고, 밤 시간일 때 지하세계에서 출현한다. 일반 잠자리채로 포획하려 할 경우 잡히기는 커녕 오히려 플레이어가 화상을 입는다. 반드시 용암 잠자리채나 황금 잠자리채를 써야만 포획할 수 있다. 개똥벌레와 반딧불이처럼, 유리병 1개와 조합해 조명 가구인 병 속의 용암벌레로도 이용이 가능.
Terraria/MagmaSn... 마그마 달팽이(Magma Snail)
미끼 효율 35%. 1.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상식적인 낚싯대로 용암에서 낚시를 하기 위해 필요한 특수 미끼이고, 지하세계에서 출현한다. 일반 잠자리채로 포획하려 할 경우 잡히기는 커녕 오히려 플레이어가 화상을 입는다. 반드시 용암 잠자리채나 황금 잠자리채를 써야만 포획할 수 있다. 야광 버섯 지대에서 나오는 발광 달팽이와 비슷하게 판매가는 은화 50닢으로 지하세계에서 자주 눈에 띄는 것치곤 수 없이 많은 비싼 편이다.
dz2gP0q 딱정벌레(Buggy)
미끼 효율 40%. 정글에서 풀이나 바위를 부수면 드물게 출현한다. 요리 냄비에서 만드는 애벌레 수프의 재료가 된다.
rUVZWJT 견습생의 미끼(Apprentice Bait)
미끼 효율 15%. 낚시꾼에게 퀘스트를 완료받으면 간혹 보상으로 주며, 낚시로 얻을 수 있는 나무/진주나무 크레이트에서도 확률적으로 획득 가능하다.
3yvEzMM 장인의 미끼(Journeyman Bait)
미끼 효율 30%. 낚시꾼에게 퀘스트를 완료받으면 간혹 보상으로 주며, 낚시로 얻을 수 있는 금/티타늄 크레이트를 제외한 대부분 크레이트에서도 확률적으로 획득 가능하다.
Terraria/달인의 미끼 달인의 미끼(Master Bait)
미끼 효율 50%. 낚시꾼에게 퀘스트를 완료받으면 간혹 보상으로 주며, 낚시로 얻을 수 있는 나무/진주나무 크레이트를 제외한 대부분 크레이트에서도 확률적으로 획득 가능하다. 남달리 금/티타늄 크레이트에서는 유일하게 이 미끼만 나오는데, 낚시 효율이 꽤 높은 컨디션에서 미끼 소모 확률을 줄여주는 장신구인 낚시 도구 상자나 낚시꾼 도구 가방까지 착용한 컨디션에서 낚시를 한다면 크레이트에서 얻는 미끼 수와 소모되는 미끼 수가 비슷해져서 미끼를 잠자리채로 따로 얻지 않아도 될 정도다! 게다가 크레이트 포션이 있다면 마신 다음 높은 낚시 효율로 금 크레이트를 하드모드 이전에 미친듯이 모아뒀다가, 하드모드 진입 이후 금 크레이트를 전부 이용해서 달인의 미끼들을 많이 얻어두면 위험하게 미끼를 얻을 걱정없이 낚시를 즐길 수도 있다.
2. 일반 몬스터[편집]
테라리아에 나오는 일반 몬스터 일람. 본 항목에서는 지형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비가 내릴 경우를 비롯한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만 출현하는 몬스터에 대해서는 이벤트 항목 참고. 대다수의 몬스터들은 스폰되는 지형 밖까지 쫓아온다.
PC 1.3 버전 이후인 경우, 각 지정된 몬스터를 50마리씩 잡을 때마다 각자 고유한 몬스터 배너를 드롭한다. 일부는 배너를 공유하기도 한다.
전문가 모드로 설정한 맵에서는 전문가라는 명칭답게 약한 몬스터들조차 크게 강화되는데 체력, 공격력이 2배로 상승하고 넉백에 추가 10% 저항을 가진다. 혹은한 하드모드에 진입한다면 전체적인 능력치에 약간의 보너스를 받는 데다가 멀티플레이라면 플레이어가 1명 추가될 때마다 추가적으로 몬스터의 능력치가 상승한다.
마스터 모드로 설정한 맵에서는 기본적으로 전문가 모드의 변경 사항이 그대로 적용되며, 체력과 공격력이 전문가 모드의 1.5배, 즉 일반 모드의 3배로 상승하고, 전문가 모드의 넉백 저항에서 추가로 10%만큼의 넉백 저항을 가진다. 즉, 일반 모드와 비교한다면 20%만큼의 추가적인 넉백 저항을 갖게 된다.
전문가/마스터 모드에서 특정 시기 이후 변경되는 능력치는 하드모드 이후에 적용되는 경우는 (괄호 + 기울임체), 플랜테라 처치 후에 적용되는 경우는 (괄호 + 밑줄)로 표기한다.
2.1. 숲(지상)[편집]
일반 슬라임(Slime)
HP
공격력
방어력
Terraria/초록 슬라임
14 / 28 (246) (338) / 42 (369) (507)
6 / 12 (86) (118) / 18 (129) (177)
0
Terraria/파란 슬라임
25 / 50 (274) (330) / 75 (411) (495)
7 / 14 (62) (74) / 21 (93) (111)
2 / 2 (10) (12)
Terraria/보라 슬라임
40 / 80 (176) (264) / 120 (264) (396)
12 / 24 (42) (64) / 36 (63) (96)
6 / 6 (12) (18)
낮일 때 숲에서 출현하는 제일 약한 슬라임 종류 몬스터들. 공격당그렇지만 않으면 제갈길을 가기 때문에 무시할수도 있다.[6] 아래쪽으로 갈수록 강하다.[7] 이런 슬라임 종류 몬스터들은 공통적으로 물에 빠지면 많이 빨리 움직이고 가라앉지 않고 떠다니는 특징이 있다. 또 다른 슬라임들과 달리 중립적이라 플레이어가 먼저 공격하지 않으면 슬라임 혹은한 달려들지 않지만, 그와 상관없이 접촉할땐 데미지를 입기때문에 짜증나서라도 죽이는 경우가 많다. 처치한다면 구리 단위의 돈과 젤 몇 개를 드롭하는데, 젤은 횃불과 포션, 접착식 폭탄 등의 재료로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잡아야 한다. 대부분 슬라임은 종류에 상관없이 많이 극악하게 0.01% / 0.014% 확률로 슬라임 스태프를 드롭한다. 1.4 업데이트 이후 바람이 불면 풍선을 타고 바람이 부는 방향 쪽으로 날아와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1.3 버전 이후 슬라임은 1/20의 확률로 몸속에 일부 포션, 광물, 동전, 폭탄, 횃불 등의 아이템들 중 1개가 들어있기도 한다면서, 처치한다면 해당 아이템을 떨군다. 이렇게 광물을 품은 슬라임은 해당 월드에서 스폰되지 않는 광물도 드랍할 수 있다.
전문가 모드 이상의 난이도에서는 보통의 슬라임이라고 번뇌한다면 넓은 코 다치기 쉬운데, 공격력이 두배로 늘어 초반의 체력 100으로는 6~7대만 맞아도 사지가 분해된다. 체력과 방어력도 높아져서 기본 무기인 구리 단검으로는 아무려면 때려도 죽을 번뇌을 안하니 시작하자마자 바로 나무로 목검을 만들어 상대하는게 나쁘지않다.. 남달리 약한 몹들 중 일부가 진행 컨디션에 따라 추가적인 상향을 받도록 하는 전문가 모드의 시스템이 제일 크게 적용되는 몹이기도 한데, 하드모드로 가면 더욱 강해지고, 플랜테라를 잡으면 더더욱 강해져서 최종 클래스 장비를 갖추어도 무시하기 힘든 대미지를 주기 때문에 방심은 금물이다.# 다만 파랑 슬라임과 보라 슬라임은 어느정도 선에서 상향이 멈춘다.
for the worthy 시드에선 엄청나게 강화되는데 체력도 150대고 공격력은 극초반의 플레이어를 50 데미지로 2방만에 죽여버리기 때문에 많이 짜증나고 성가시다. 상술했듯 게임이 진행될수록 강해지기 때문에 후반에도 엄청 아파서 남달리 더 그렇다.
iZLFYT4 토끼 슬라임(Bunny Slime)
HP
공격력
방어력
25 / 50 (274) (330) / 75 (411) (495)
7 / 14 (62) (74) / 21 (93) (111)
2 / 2 (10) (12)
할로윈 기간 전용 몬스터. 그저 토끼 탈과 토끼 꼬리를 단 슬라임이다. 능력치는 파란 슬라임과 동일하다. 토끼 슬라임을 죽여도 토끼 탈은 드롭되지 않는다.
선물 슬라임(Present Slime)
HP
공격력
방어력
external/hydra-m...
25 / 50 (274) (330) / 75 (411) (495)
7 / 14 (62) (74) / 21 (93) (111)
2 / 2 (10) (12)
external/hydra-m...
23 / 46 (302) (354) / 69 (453) (531)
6 / 12 (64) (74) / 18 (96) (111)
2 / 2 (12) (14)
external/hydra-m...
29 / 58 (254) (318) / 87 (381) (477)
8 / 16 (56) (72) / 24 (84) (108)
3 / 3 (12) (15)
external/hydra-m...
22 / 44 (338) (434) / 66 (507) (651)
5 / 10 (62) (80) / 15 (93) (120)
1 / 1 (7) (9)
크리스마스 기간 전용 몬스터. 위쪽부터 하양, 금빛, 녹색, 빨강 선물 슬라임이다. 처치한다면 5% 확률로 치장용 의류인 거대한 나비넥타이를 드롭한다.
위 항목에서 보시다시피 선물 슬라임은 여러 바리에이션이 존재하는데, 차이점은 모양과 약간의 능력치 뿐이다.
Terraria/핑키 핑키(Pinky)
HP
공격력
방어력
150 / 300 (330) (660) / 450 (495) (990)
5 / 10 (8) (18) / 15 (12) (27)
5 / 5 (10)
희귀하게 출현하는 작은 분홍 슬라임. 작아서 잘 보이지도 않고 체력이 150으로 높아서 초반엔 잡기가 조금 힘들다. 다만 그만큼 약한 데다가 넉백에는 심하게 약해서 살짝만 쳐도 멀리 날아간다. 각종 넉백을 올려주는 장비와 포션을 떡칠하고 넉백률이 높은 무기로 쳐내면 장외홈런을 하는 광경을 보게 된다. 왕 슬라임 외의 슬라임 중 유일하게 금화도 준다. 다른 드롭 아이템인 분홍 젤을 다량으로 주는데 몹 스폰률을 줄여주는 평화 양초나 투척 무기인 화염병, 튀어오르는 아이템 등 번뇌보다 수 없이 많은 곳에 필요하니 모아두자.
초기에 지급되는 구리 단검으로는 때릴 수 없을 정도로 너무 작아서 나무 검처럼 범위가 넓은 무기를 들고 때려 잡는 것이 나쁘지않다.. 초기에 특별한 무기가 없다면 활과 불화살을 빨리 만들어서 때려주면 '불이야!' 디버프의 피해로 쉽게 잡을 수 있다. 대신 넉백률이 높은 수류탄 같은 무기는 이용하지 말자. 초반에 보이는 즉시 때려잡아줘야 나중에 상인을 부르는 고생가 덜하게 된다. 생물 형태 분석기에 잡히는 레어 몬스터이다.
슬라임 중에는 제일 높은 확률인 1% / 1.4% 확률로 슬라임 스태프를 드랍한다.
Terraria/Gnome 노움(Gnome)
HP
공격력
방어력
25 / 50 (274) (330) / 75 (411) (495)
10 / 20 (90) (108) / 30 (135) (162)
0
지상 숲 바이옴의 자연 생나무 벽지 혹은는 자연 흙 벽지 앞에서 희귀하게 등장한다. 첨엔 가만히 서서 있다가 플레이어를 발견한다면 플레이어를 향해 달려든다. 별 볼일 없는 자그마한 잡몹으로 보이나 어떠한 방식으로든 태양빛[8]을 쬐게 한다면[9] 굳어버려 정원에 흔히 장식하는 정원 노움으로 변해버린다. 밤에는 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상으로 나오더라도 석화되지 않는다.
플레이어 허리 밖에 안 오는 크기지만 많이 즉시 뛰어다니고 체력도 단순한 잡몹보다는 높기 때문에 초반에 느리고 리치 짧은 무기로 상대한다면 귀찮은 적이다. 남달리 전문가 모드 이상의 난이도에서는 그 빠른 속도에다가 공격력과 체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나무 지하의 상자를 캐다가 끔살당할 수도 있다.
생물 형태 분석기에 잡히는 레어 몬스터이다.(외국에서는 밈(meme)로 이용된다.)
좀비(Zombie)
HP
공격력
방어력
attachment/Zombi...
45 / 90 (198) (296) / 135 (297) (444)
14 / 28 (50) (74) / 42 (75) (111)
6 / 6 (12) (18)
attachment/Bald ...
40 / 80 (176) (264) / 120 (264) (396)
15 / 30 (54) (80) / 45 (81) (111)
5 / 5 (10) (15)
attachment/Swamp...
45 / 90 (198) (296) / 135 (297) (444)
13 / 26 (46) (70) / 39 (69) (105)
8 / 8 (16) (24)
attachment/Twigg...
45 / 90 (198) (296) / 135 (297) (444)
16 / 32 (56) (86) / 48 (84) (129)
4 / 4 (8) (12)
attachment/Femal...
38 / 76 (250) (334) / 114 (375) (501)
12 / 24 (64) (86) / 36 (96) (129)
4 / 4 (12) (16)
밤일 때 땅 위에 출현한다. 위쪽부터 일반 좀비, 대머리 좀비이고, 아래 세 좀비는 버전 1.2 이후 새로 추가된 늪 좀비, 잔가지 좀비, 여성 좀비이고, 이들의 차이점은 모습과 약간의 능력치뿐이다.
아무것도 없는 초반에 가이드의 조언을 무시하고 밤에 나돌아다니는 플레이어에게는 공포의 대상. 처치한다면 구리 단위의 돈 외에 장신구인 족쇄를 2% 확률로, 검류 무기인 좀비 팔을 0.4% 확률로 드롭한다. 체력은 약 40 전후로, 구리 단검으로 척살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니 차라리 공격 범위가 넓은 나무 검이나 구리 검을 만들어서 상대하는 것을 권장한다.
평상시에는 집에 문만 제대로 달아놓으면 별거 아닌 몬스터지만, 블러드 문 이벤트 발생 시에는 문을 열 수 있으니 주의. 스켈레톤, 고블린, 늑대인간 등 좀비와 같은 AI를 가진 몬스터들은 대다수 이런 식으로 블러드 문이 떴을 때에는 문을 열 수 있다. 어차피 문 뒤쪽에 블록이나 가구를 놓으면 열수가 없기 때문에 이 역시 간략히 무력화시킬수 있다.
attachment/Pincu... 화살투성이 좀비(Pincushion Zombie)
HP
공격력
방어력
50 / 100 (220) / 150 (330)
16 / 32 (56) / 48 (84)
8 / 8 (16)
일반 좀비와 마찬가지로 밤일 때 땅 위에 출현한다. 일반 좀비보다 강한다면서 넉백 저항이 훨씬 강하다. 일반 좀비와는 다르게 때릴 때 아이템이 아닌 화살을 떨어뜨리는 그래픽이 나온다. 또 처치한다면 나무 화살을 같이 드롭한다. 화살의 양은 약 1~9개 정도.
Terraria/슬라임 좀비 슬라임 좀비(Slimed Zombie)
HP
공격력
방어력
40 / 80 (176) (264) / 120 (264) (396)
13 / 26 (46) (70) / 39 (69) (105)
6 / 6 (12) (18)
일반 좀비와 마찬가지로 밤일 때 땅 위에 출현그렇지만, 일반 좀비보다 약해서 쉽게 잡을 수 있다. 슬라임이 머리에 붙어있어서 그런지 처치한다면 슬라임이 주는 젤을 같이 드롭한다면서 0.01% / 0.014% 확률로 슬라임 스태프도 드롭한다. 주는 젤의 양은 일반 지상의 슬라임과 비슷하게 1-3개이다. 도감을 보면 충격적이게도 슬라임에게 소화당하던 사람이 좀비가 돼서 저런 모습이 된거라고 한다.
Torch Zombie 횃불 좀비(Torch Zombie)
HP
공격력
방어력
45 / 90 (198) (296) / 139 (297) (444)
14 / 28 (50) (74) / 42 (75) (111)
6 / 6 (12) (18)
4버전 이후 새롭게 추가된 좀비의 아종. 죽이면 100% 확률로 횃불 5~20개를 드롭한다. 여담으로 도감을 보면 옛날에는 좀비를 싫어해 횃불을 들고 사냥하고 다니는 사람이었지만 결국 좀비가 된듯 하다.
구더기 좀비
팔을 든 좀비(Armed Zombie)
HP
공격력
방어력
Armed Zombie
90 (198) (296) / 135 (297) (444)
28 (50) (74) / 42 (75) (111) (접촉)
35 (62) (팔 휘두르기)
6 (12) (18)
Armed Pincushion...
100 (220) / 150 (330)
32 (56) / 48 (84) (접촉)
40 (72) (팔 휘두르기)
8 (16)
Armed Slimed Zom...
80 (176) (264) / 120 (264) (396)
26 (46) (70) / 39 (69) (105) (접촉)
32 (57) (팔 휘두르기)
6 (12) (18)
Armed Swamp Zomb...
90 (198) (296) / 135 (297) (444)
26 (46) (70) / 39 (69) (105) (접촉)
32 (57) (팔 휘두르기)
8 (16) (24)
Armed Twiggy Zom...
90 (198) (296) / 135 (297) (444)
32 (56) (86) / 48 (84) (129) (접촉)
40 (70) (팔 휘두르기)
4 (8) (12)
Armed Female Zom...
76 (250) (334) / 114 (375) (501)
24 (64) (86) / 36 (96) (129) (접촉)
30 (80) (팔 휘두르기)
4 (12) (16)
Armed Torch Zomb...
90 (198) (296) / 139 (297) (444)
28 (50) (74) / 42 (75) (111) (접촉)
80 (80) (팔 휘두르기)
6 (12) (18)
전문가 모드 이상의 난이도에서만 등장하는 좀비의 변종. 전문가/마스터 모드 초반부 최대의 난적 중 하나로, 플레이어와 가까워지면 좀비 팔을 휘두르는데, 이 스윙에 맞으면 공격력의 2배 가량인 50~70의 딜을 꽂아넣는다. 한마디로 최대 체력이 100인 초반에는 1대만 맞아도 목숨이 위태로워진다. 마스터 모드에서는 100이 넘어가는 무시무시한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체력이 100인 극초반 스펙으로는 맞는 순간 한 방에 승천한다. 게다가 구리 단검 등 짧은 무기로는 좀비의 팔보다 리치가 짧아서 처치하기 힘들기 때문에 초반에 팔 든 좀비를 봤다면 활 등의 원거리 무기나 창, 요요처럼 사거리가 긴 무기로 공격하는 게 나쁘지않다.. 사실 제일 안전한 방도은 집 지어놓고 안전하게 버티는 것.
이 좀비들이 들고 있는 팔은 자세히 보면 자기자신의 잘려나간 한 쪽 팔을 무기로 쓰고 있는 것이다. 이걸 감안한 건지 팔을 든 좀비들은 문을 열기는 커녕 문을 두드리는 모션조차 못하고 점프만 해댄다.
영문명을 보면 알겠지만, 무장하다(Arm)와 팔(Arm)의 스펠링이 같다는 것을 이용한 말장난이다.
할로윈 변종
HP
공격력
방어력
Terraria/ZombieH...
40 / 80 (176) / 120 (264)
20 / 40 (72) / 60 (108)
6 / 6 (12)
Terraria/ZombieH...
60 / 120 (264) / 180 (396)
15 / 30 (54) / 45 (81)
8 / 8 (16)
Terraria/ZombieH...
34 / 64 (74) (148) / 102 (111) (222)
20 / 40 (36) (72) / 60 (54) (108)
14 / 14 (28)
할로윈 이벤트 기간에만 나타나는 좀비의 변종. 위쪽부터 간호사 좀비, 슈퍼히어로 좀비, 요정 좀비. 모습이 달라진 것 외에 특별한 점은 없다.
크리스마스 변종
HP
공격력
방어력
Terraria/ZombieC...
45 / 90 (198) (296) / 135 (297) (444)
14 / 28 (50) (74) / 42 (75) (111)
6 / 6 (12) (18)
Terraria/ZombieC...
45 / 90 (198) (296) / 135 (297) (444)
14 / 28 (50) (74) / 42 (75) (111)
6 / 6 (12) (18)
크리스마스 이벤트 기간에만 나타나는 좀비의 변종. 위쪽부터 산타 좀비, 스웨터 좀비. 모습이 달라진 것 외에 특별한 점은 없다.
악마의 눈(Demon Eye)
HP
공격력
방어력
attachment/Demon...
60 / 120 (264) / 180 (396)
18 / 36 (64) / 54 (96)
2 / 2 (4)
attachment/Catar...
65 / 130 (286) / 195 (429)
18 / 36 (64) / 54 (96)
4 / 4 (8)
attachment/Diala...
50 / 100 (220) (330) / 150 (330) (495)
18 / 36 (64) (96) / 54 (96) (144)
2 / 2 (4) (6)
attachment/Green...
60 / 120 (264) / 180 (396)
20 / 40 (72) / 60 (108)
0
attachment/Sleep...
60 / 120 (264) (396) / 180 (396) (594)
16 / 32 (56) (86) / 48 (84) (129)
2 / 2 (4) (6)
attachment/Purpl...
60 / 120 (264) (396) / 180 (396) (594)
14 / 28 (50) (74) / 42 (75) (111)
4 / 4 (8) (12)
밤일 때 지상에 출현한다. 1.2 버전 업데이트로 여러 바리에이션들이 추가되었다. 위쪽부터 순서대로 일반 악마의 눈, 백내장 눈, 확장된 동공 눈, 녹색 눈, 졸린 눈, 자줏빛 눈.
공중에 붕붕 떠다니는 그로테스크한 눈으로 불규칙하게 곡선을 그리며 돌아다닌다. 처치한다면 약간의 돈과 1/3 확률로 수정체를 드롭하는데, 수정체 2개로 '방어력 +1'의 효과를 가진 고글을 만들 수 있으며, 수정체 6개를 악마의/진홍색 제단에서 조합한다면 크툴루의 눈 소환 아이템인 수상해 보이는 눈을 만들 수 있다. 혹은한 1% 확률로 검은 수정체를 드롭한다면서 이건 두 개를 조합해서 선글라스를 만들 수 있다.
추가로 안구 스태프의 재료로 쓰이기도 하니 초반에 나온다면 잘 보관하도록 하자.
여기저기 날아다니기 때문에 귀찮을 뿐 그다지 강하지는 않지만, 혐오스럽게 생겨서 테라리아의 아담한 디자인 때문에 게임을 시작했던 플레이어들에게는 충격과 공포를 안겨준다. 체력이 높긴 그렇지만, 방어력 자체는 좀비보다 약하고, 피격을 당해도 블록에 닿으면 통통 튀는 이놈의 몸체 덕분에 한 마리라면 완전 무서울 게 없다. 단검으로 공격하는 것이 힘들고, 집에 들어오면 참으로 짜증나는 존재이긴 하다만...창이나 활로 잡는 것을 추천한다. 아니면 검같이 휘두르는 무기나 범위가 꽤 넓은 무기로 상대하는 것도 나쁘지않다.. 전문가 모드 이상의 난이도에서는 체력과 공격력이 대폭 늘어 밤에 돌아다니면 좀비보다도 무서운 존재가 된다. 남달리 떼로 덤벼들거나 좀비와 협공을 한다면 그냥 거울이나 귀환 포션 쓰고 집으로 도망가는 게 편하다.
할로윈 변종
HP
공격력
방어력
8ecec0 02
75 / 150 (330) / 225 (495)
16 / 32 (56) / 42 (84)
6 / 6 (12)
e1908d 03
60 / 120 (264) / 180 (396)
20 / 40 (72) / 60 (108)
4 / 4 (8)
할로윈 이벤트 기간에만 나타나는 악마의 눈의 변종. 위쪽부터 올빼미 악마의 눈, UFO 악마의 눈. 모습이 달라진 것 외에 특별한 점은 없다.
Goblin Scout 고블린 정찰병(Goblin Scout)
HP
공격력
방어력
80 / 160 (176) (352) / 240 (264) (528)
20 / 40 (36) (72) / 60 (54) (108)
6 / 6 (12)
낮일 때 맵의 제일자리 부근[10]에서 간혹 출현하는 몬스터. 처치한다면 망가진 천을 무전제 1~2개 드롭한다. 이 망가진 천 10개와 나무 5개를 베틀에서 조합한다면 고블린 부대를 임의로 부를 수 있는 아이템인 고블린 전투 휘장을 만들 수 있으니 보이는 족족 죽여서 망가진 천을 얻자. 생물 형태 분석기에 잡히는 레어 몬스터이다.
1.4 업데이트 이후 스프라이트가 리뉴얼되었다.
Raven 까마귀(Raven)
HP
공격력
방어력
35 / 70 (230) (308) / 105 (345) (462)
12 / 24 (64) (86) / 36 (96) (129)
2 / 2 (6) (8)
할로윈 기간 전용 몬스터. 밤일 때 지상에 출현한다. 평상시에는 가만히 땅 위에 앉아있으나, 플레이어가 접근하거나 자기자신이 공격당한다면 날아서 돌진해온다. 사막의 독수리와 AI가 같다. 완전한 어둠 속에서는 잘 보이지 않으니 조심해야 한다. 전리품은 배너 말고는 없다.
1.4버전 이후 추가된 미니 바이옴인 묘지에서 좀비, 유령, 악마의 눈과 함께 상시 등장하게 되었다.
Terraria/빙의된 갑옷 빙의된 갑옷(Possessed Armor) ⓗ
HP
공격력
방어력
260 / 520 / 780
55 / 110 / 165
28
밤일 때 지상이나 지하에 가리지 않고 출현한다. 전리품은 없는 대신 은 단위의 동전을 드롭한다. AI는 좀비와 같아 블러드 문이 떴을 때에는 문을 열 수도 있다. 방어력이 높은 편인데다가 넉백 저항도 강한다면서 이동속도는 다른 일반 몬스터보다 수 없이 많은 빠른 편이라, 몇 마리가 모이면 원거리 공격으로는 접근을 막기가 힘드므로 즉시 때려잡아야 한다. 전문가 이상의 난이도에서는 높아진 공격력 때문에 지상에 집을 지어 놨다간 이 녀석 때문에 NPC들이 죽을수도 있다.
2lgk32gk 방황하는 눈(Wandering Eye)ⓗ
HP
공격력
방어력
300 / 600 / 900
40 / 80 / 120
20
밤일 때 지상에 출현한다. 진작지에서 볼 수 있듯이 보스인 크툴루의 눈의 축소판. 체력이 반이 되었을 때 눈이 이빨이 되는 것도 똑같다. 체력은 꽤 높지만 하드모드 몬스터치고 공격력도 약하고 특별한 패턴도 없는 비교적 무난한 몬스터. 1.3 버전 업데이트 이후엔 악마의 눈과 마찬가지로 처치한다면 수정체를 드롭한다. 배너도 악마의 눈의 것을 공유하는, 그냥 악마의 눈으로 취급되었었지만, 1.4 업데이트 이후 드디어 전용 배너를 갖게 되었다.
attachment/Wrait... 망령(Wraith) ⓗ
HP
공격력
방어력
160 / 320 / 480
65 / 130 / 195
16
밤일 때 지상에 출현한다. 1.3 버전 업데이트 이후에 피격음이 추가됐다. 눈만 빨갛게 빛나는 검은 정령 비스무리한 것들. 지형을 통과해 날아다니고 접촉한다면 둔화 디버프를 걸어 이동속도를 반토막낸다. 체력이 160 정도로 하드모드 몹 치고는 낮은 편이라 단독으로 나오면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다만 벽을 관통한다는 특성상 하드모드에서 유의해야하는 적중 하나이다. 공격력도 장난이 아니라서 방심하다간 NPC가 이 녀석에게 끔살당하는 경우도 꽤 있으므로 경계해야 할 적. 그러나 지상에서만 맴돌고 일정 높이 이상으로는 제대로 못 올라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어 지상에 집을 지을 때 지상 기준 2층 정도 높이로 집을 짓는다면 올라오지도 못하고 그 자리에서 둥둥 떠나니기만 하는 모습을 보인다. 완승의 망치로 악마의/진홍색 제단을 부술 때도 한두 마리씩 스폰되는데, 단시간에 제단을 무더기로 부쉈다면 화면 저편에서 떼거지로 몰려오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처치한다면 1% 확률로 고속 시계를 드롭한다.
attachment/Werew... 늑대인간(Werewolf) ⓗ
HP
공격력
방어력
350 / 700 / 1,050
70 / 140 / 210
38
보름달이 뜨는 밤일 때 지상에 출현한다. 하드모드 설원에 출연하는 늑대와는 착각하지 말 것. 플레이어에게 달려들어 공격하는 특성이 있고, 접촉한다면 12.5% 확률로 출혈 디버프를 걸어 체력 재생을 무효화시킨다. 넉백 저항도 강하고 공격력도 수 없이 많은 높아서 하드모드 초반에 만나면 진짜 상대하기 벅차다. 남달리 블러드 문과 겹치면 엄청나게 많이 스폰되고 문도 열 수 있게 되므로 주의. 처치한다면 1% 확률로 접착식 붕대와 달의 부적을 드롭한다.
attachment/Hoppi... 호핀 잭(Hoppin' Jack) ⓗ
HP
공격력
방어력
175 / 350 / 525
80 / 160 / 240
20
할로윈 기간 전용 몬스터. 밤일 때 지상에 출현한다. 생긴 것도 슬라임과 비슷하고 AI도 슬라임과 공유그렇지만 처치해도 젤을 완전 드롭하지 않는 데다가, 로얄 젤을 착용해도 공격을 받기에 슬라임으로 취급되지는 않는듯 하다. 전리품은 약간의 돈과 배너 말고는 없다. 그런 주제에 공격력은 수 없이 많은 높아서 성가신 몬스터.
Terraria/Martian... 화성인 탐사기(Martian Probe) ⓗ
HP
공격력
방어력
500 / 1,000 / 1,500
5 / 10 / 15
5
골렘을 잡은 이후 필드 제일자리를 랜덤으로 돌아다니며 등장한다. 지상 부분에서도 발견되긴 그렇지만, 상공에서 주로 발견된다. 생물 형태 분석기에 잡히는 레어 몬스터.
아래쪽으로 노란 빛을 방사한다면서 한 쪽으로 움직이는데, 플레이어가 이 빛에 걸리면 파란 부분이 빨갛게 변한다면서 빠른 속도로 우주로 도망친다. 도망치는 탐사기를 파괴하지 않으면 탐사기가 맵에서 벗어나는 즉시 화성의 광기 이벤트가 발동된다. 화성인 탐사기는 하늘 위나 우주 영역에선 스폰율이 올라가며, 고블린 정찰병처럼 맵의 중앙이 아닌 바닷가 같은 제일자리 구역에 잘 나타나므로 바닷가 근처쯤에서 중력 포션 등을 활용해 하늘 위를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혹은한 일식이나 블러드 상담 스폰율에 영향을 받으므로 블러드 문이 떴거나, 태양의 석판을 활용해 낮에 일식을 강제로 진행시켜 탐사기를 즉시 만날 수 있다.
PC 1.3 버전 초기에는 탐사기가 어디서나 많이 자주 나타나서 보스를 처리하는 등 막중한 일을 볼 때 나타나 탐지하고 도망가버리면 진짜 골칫거리였다. 남달리 달의 군주를 정공으로 잡는데 재수 없으면 이놈이 나오더니 도망가고 곧바로 화성인 우주선이 나타나 달의 군주 공격도 피하기 어려운데 레이저와 살인 광선도 함께 피해야 하므로 그야말로 정신을 아스트랄하게 만든다. 이 때문에 유저들의 불만을 들었는지 이벤트나 보스 진행 중에는 나타나지 않게 바뀌었으며 맵 중심에서는 소환이 안 되도록 하고 스폰율을 대폭 줄였다. 패치 초반에는 아예 나오지 않는 버그가 있었으나 수정되었고 탐사기가 이제 희귀 생물로 분류되었다.
2.2. 지하[편집]
빨강 슬라임(Red Slime)과 노랑 슬라임(Yellow Slime)
HP
공격력
방어력
attachment/Red S...
35 / 70 (230) (308) / 105 (345) (462)
12 / 24 (64) (86) / 36 (96) (129)
4 / 4 (12) (16)
attachment/Yello...
45 / 90 (198) (296) / 135 (297) (444)
15 / 30 (54) (80) / 45 (81) (120)
7 / 7 (14) (21)
지하에서만 출현하는 슬라임 종류 몬스터들. 전체적으로 숲의 슬라임들보다 능력치가 약간 향상되었고, 지상의 슬라임과는 다르게 공격받지 않아도 항시 플레이어를 향해 이동한다. 그래도 어차피 초반의 슬라임들은 잡몹 취급을 받는지라 거기서 거긴지라... 동굴 탐험하다 횃불이 다 떨어졌을 때 이 녀석들을 재료 대용으로 쓰는 경우도 적잖아 있다. 그러니 보이는 족족 무기로 썰어주자. 전문가 모드에서는 무식하게 쎄져서 초반 지하 탐험을 껄끄럽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근접전을 시도하기보다는 요요나 활로 처리하도록 하자.
attachment/Giant... 거대 지렁이(Giant Worm)
HP
공격력
방어력
30 / 60 (330) (396) / 90 (495) (594)
8 / 16 (72) (86) / 24 (108) (129) (머리)
4 / 8 (36) (42) / 12 (54) (63) (몸통)
4 / 8 (28) (36) / 12 (42) (54) (꼬리)
0 (머리)
4 / 4 (20) (24) (몸통)
6 / 6 (24) (30) (꼬리)
지하에서 등장하는 다관절 몬스터. 슥슥슥거리는 소리를 내며 지형을 뚫고 다니며 플레이어를 감지한다면 돌아다니다가 주기적으로 플레이어를 향해 돌진한다. 토양 아래에 숨어다녀서 위치 파악이 어렵지만 플레이어에게 가까워질수록 슥슥거리는 소리의 간격이 빨라지므로 대략 언제쯤 나타날지 가늠할 수 있다. 맷집은 형편없지만 초반에는 블록도 뚫고 다니면서 요리조리 도망다니는데다 그 특유의 슥슥거리는 소리때문에(...) 녀석에게 트라우마를 가진 플레이어도 꽤 있는듯 하다. 그렇지만 결국 잡몹이라 더 강한 장비를 챙기게 되면 쉽게 잡는다. 이 녀석의 근처에서 그냥 채굴만 하고 있으면 돌진하다가 곡괭이 맞고 알아서 죽는다. 다만 전문가 모드의 경우 초반 탐사때는 강해져서 제법 위험할수 있다. 처치한다면 2% 확률로 방귀 쿠션을 드롭한다. 하드모드 이후엔 디거로 대체되면서 완전 출현하지 않았으나 1.4 패치 이후로 하드모드 이후에도 출현하게 되었다. 전문가 이상의 난이도에서는 여타 약한 몹들과 마찬가지로 진행 상황에 따라 능력치가 점점 강해지는 버프를 받은 것은 덤이다.
방귀 쿠션은 병 속의 구름과 조합해 병 속의 방귀를 만들 수 있다. 점프 높이가 증가하니 쓸 일이 있으면 얻어두자.
Terraria/파란 해파리 파란 해파리(Blue Jellyfish)
HP
공격력
방어력
34 / 68 (148) / 102 (222)
25 / 50 (90) / 75 (135)
4 / 4 (8)
대동굴의 물웅덩이 속에서 출현. 빛나기 때문에 멀리서도 쉽게 알 수 있다. 초반에는 따가운 피해량이니 주의. 플레이어가 물속에 있을 때 일정 간격으로 돌진한다. 물 밖으로 나오면 움직이지는 못그렇지만, 피해 판정이 존재한다.
처치한다면 형광봉을 드롭하고, 1% 확률로 물속에서 발광 효과를 주는 장신구인 해파리 목걸이를 드롭한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이따금씩 주기적으로 몸체에 전기를 두르면서 무적 컨디션가 된다. 이는 다른 해파리류 몬스터도 마찬가지.
attachment/Toxic... 유독성 슬러지(Toxic Sludge) ⓗ
HP
공격력
방어력
150 / 300 / 450
50 / 100 / 150
18
하드모드의 지하에서 출현하는 슬라임. 접촉한 플레이어에게 50%의 확률로 독 디버프를 건다. 하드모드 초반에는 수 없이 많은 위협적이지만 어차피 기계 보스(쌍둥이, 파괴자, 스켈레트론 프라임) 정복할 즈음이 되면 잡몹이다. 처치한다면 은 단위의 돈과 젤을, 1% 확률로 위석을 드롭한다. 슬라임 주제에 사람 얼굴같은 웃는 표정이 달려있는데 꽤 귀엽다. 팬아트도 꽤 수 없이 많은듯.
attachment/Digge...
디거(Digger) ⓗ
HP
공격력
방어력
200 / 400 / 600
45 / 90 / 135 (머리)
28 / 56 / 84 (몸통)
26 / 52 / 78 (꼬리)
10 (머리)
20 (몸통)
30 (꼬리)
거대 지렁이의 강화판. 디바워러처럼 송곳니가 드러나고 길이가 더 길어졌다. 처치한다면 은 단위의 돈과 2% 확률로 방귀 쿠션을 드롭한다. 거대 지렁이보단 훨씬 강그렇지만 하드모드 초반부터 그만큼 강력해진 플레이어의 무기에 학살당한다면서 하드모드 중반부터는 드랙스같은걸로 채굴만 해도 돌진한다면 죽어있는, 그야말로 딱 하드모드판 거대 지렁이. 전문가 모드에서는 제법 위협적이라 초반에 진입한 소서러나 서머너의 경우 좀 위험할수도 있다.
Terraria/녹색 해파리 녹색 해파리(Green Jellyfish) ⓗ
HP
공격력
방어력
120 / 240 / 360
80 / 160 / 240
30
파란 해파리의 강화판. 하드모드 강화판답게 80이라는 할 말이 안나오는 공격력을 자랑한다면서, 물 안으로 들어가면 푸른 해파리와는 비교도 안되는 빠른 속도로 플레이어에게 돌진해댄다. 간혹씩은 미쳐버린 제 속도에 주체를 못해서 물에서 튕겨져나와 땅에서 허우적대는 경우도 있다. 즉시 처리하는 게 상책. 잘못하다간 원거리 계열이나 마법 계열 캐릭터는 웬만큼 나쁘지않은 방어구를 맞춰 입었어도 심한 피해량으로 몇 방 맞다가 오체분시되는 캐릭터를 볼지도 모른다. 접촉한다면 20% 확률로 침묵 디버프를 건다. 역시 처치한다면 형광봉을 드롭하고, 1% 확률로 해파리 목걸이도 드롭한다. 혹은한 1% 확률로 확성기를 드롭한다.
Terraria/미믹 미믹(Mimic) ⓗ
HP
공격력
방어력
500 / 1,000 / 1,500
80 / 160 / 240
30
이름대로 상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가 가까이 다가가거나 먼저 피해를 받으면 이빨을 드러내면서 공격해 온다. HP는 500에 공격력은 80으로 꽤나 강한 편. 지역별로 속기 쉽게 일반 상자(지상의 자연 흙벽지 앞), 황금 상자(지하 및 대동굴), 잠긴 그림자 상자(지옥) 세 가지 형태를 하고 있다. 자연적으로는 하드모드에서만 등장그렇지만 지하에서 간혹 얻을 수 있는 상자 조각상을 설치하고 전기로 활성화시켜도 나온다. 다만, 이 경우에는 처치해도 아무것도 주지 않는다.
보편적으로 봐서는 그냥 상자와 구별이 많이 어렵지않다. 한 번도 못 가본 곳이 아닌 이상 뜬금없이 아무것도 없는 곳에 상자가 놓여있으므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아니면 픽셀 단위로 상자가 어색하게 놓여있거나 한 곳에 상자 2개가 있다던지. 심지어는 한 칸 블록 위에 올라가 있는 경우도 있고, 희귀 생물 탐지기를 소지중이거나 사냥꾼의 포션을 먹으면 대놓고 미믹이 어디있는지 알려준다. 정 귀찮으면 그냥 아무 공격이나 상자에 날려 보면 알 수가 있다.
처치한다면 14.29% 확률로 이중 갈고리, 마법의 단검, 거인의 장갑, 현자의 돌, 십자가 목걸이, 별의 망토를 드롭한다. 여기에 덤으로 금화 10닢을 주며, 전문가 모드에서는 무려 28골드를 준다. 아이템들이 보스를 잡는데 도움을 주는 것들이 대다수라 농사할 가치가 크다. 자연산 벽면이 있어야 스폰되므로 작업장을 만든다면 폭탄보다는 손으로 캐자. 참고로 정글 지형에서 스폰률이 올라가니, 지상 공중에 정글 지형을 만들고 어느정도 땅을 판뒤 스폰률을 올려주면 미믹 작업장을 간략하게 만들수 있다.
하드모드 초반에는 눈에 불을 켜고 찾게되지만 중후반에 들어서 지하에 아레나를 건설할때면 발에 채일정도로 많이보인다.
버전이 1.3으로 갱신되면서 오염지대, 진홍지대, 신성지대에 각각 아종인 오염된 미믹, 진홍색 미믹, 신성한 미믹도 등장. 체력이 미니 보스 수준으로 늘어났으며 처치법 역시 일반 미믹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까다롭다.
2.3. 대동굴[편집]
attachment/Black... 검정 슬라임(Black Slime)
HP
공격력
방어력
45 / 90 (198) (296) / 135 (297) (444)
15 / 30 (54) (80) / 45 (81) (120)
4 / 4 (8) (12)
대동굴에서 출현하는 슬라임. 노랑 슬라임보다 조금 약그렇지만 색이 회색이라 돌과 회색 벽 천지인 대동굴에서는 대단히 위협적이다. 일반 슬라임과 다르게 접촉한다면 25% 확률로 암흑 디버프를 걸어 주위를 어둡게 만든다. 드롭하는 아이템은 일반 슬라임과 같다.
가뜩이나 잘 안 보이는데 피격되면 시야까지 더 어둡게 만드니 꽤나 짜증나는 슬라임. 갑자기 체력이 낮아지면 이 녀석일 거다. 다행히 체력은 낮으니 발견한다면 이 녀석이 디버프 걸기 전에 처치해 버리자.
어미 슬라임(Mother Slime)과 새끼 슬라임(Baby Slime)
HP
공격력
방어력
Terraria/어미 슬라임
90 / 180 (198) (396) / 270 (297) (594)
20 / 40 (36) (72) / 60 (54) (108)
7 / 7 (14)
attachment/Baby ...
30 / 60 (198) (264) / 90 (297) (396)
13 / 26 (70) (92) / 39 (105) (138)
4 / 4 (12) (16)
이 두 슬라임은 대동굴에서 출현한다. 어미 슬라임은 독에 면역을 가지고 있으며, 죽으면 세 마리의 새끼 슬라임이 나온다. 새끼 슬라임의 경우 크기 차이와 암흑 디버프를 주지 않는다는 점만 뺀다면 검정 슬라임과 똑같다. 어미 슬라임을 잡을 때 폭발 무기를 이용한다면 새끼 슬라임까지 죽어서 번거롭지 않다. 드롭하는 아이템은 기본적으로 일반 슬라임과 같지만 어미 슬라임만 2% 확률로 나침반을 드롭한다. 어미 슬라임 자체는 다른 슬라임보다 체력이 조금 수 없이 많은 그냥 넓은 슬라임과 다름이 없다.
Terraria/동굴 박쥐 동굴 박쥐(Cave Bat)
HP
공격력
방어력
16 / 32 (140) (176) / 48 (210) (264)
13 / 26 (92) (116) / 39 (138) (174)
2 / 2 (8) (10)
대동굴에서 출현하는 비행 몬스터. 크기가 작고 속도가 빨라 총이나 활, 부메랑 등의 원거리 무기로는 상대하기가 까다롭고 휘두르는 무기를 쓰는 것이 나쁘지않다.. 일단 공격을 맞출 수만 있다면 HP가 워낙 낮기 때문에 간략히 처리할 수 있다. 처치한다면 0.4% 확률로 발사식 철퇴인 쇠사슬 단검을, 1% 확률로 깊이 측정기를 드롭한다.
전문가 이상의 난이도에서는 스펙이 증가한 데다 피격 시 일정 확률로 광견병 디버프에 걸리기 때문에 첨 만나는 제일 약한 박쥐인데도 수 없이 많은 무섭다. 더군다나 하드모드 이후로는 스펙이 상향되어서 자기자신의 하드모드 업그레이드 버전인 거대 박쥐보다도 살짝 강한 공격력을 가지게 되는데, 거대 박쥐보다도 피격 면적이 작아 때리기가 힘든 동굴 박쥐 쪽이 오히려 상대하기 힘들어진다.
스켈레톤(Skeleton)
HP
공격력
방어력
Terraria/스켈레톤
60 / 120 (132) (264) / 180 (198) (396)
20 / 40 (36) (72) / 60 (54) (108) (접촉)
80 / 120 (뼈 투척)
8 / 8